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트워크 층
    인터넷 프로트콜 2021. 4. 5. 17:36

    Layer 1 : 물리
    Layer 2 : 데이터링크(랜/WAN)
    Layer 3 :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층 서비스

    기능

    1. 서로 다른 네트워크(랜 or WAN)을 연결하는 기능
    2. 양단간 전달(End-to-End Delivery)
    3. 전송 당위: 패킷/데이터그램
    4. 대표적인 프로토콜 : IP

    ->  이 사이에 Interface(TCP/IP : 인터넷)(라우터)가 필요하다.

    네트워크층에서 통신

    Alice - R2 - R4 - R5 - R7 - Bob

    |<------------------------------>|

    End - to - End Delivery -> 서로 끝에 있는 것을 통신

     

    패킷 스위칭

    Switching(교환 방식)

     회선 교환(Circuit)
     패킷 교환(Packet_
      - Datagram : Connection-less(비연결형)
      - 가상회선(Virtual Circuit) : Connection-oriented(연결 지향형)

                      A - R1 - R2 - R3 - R4 - B
         가상회선   14 - 66 - 22  - 77 (VCI)

     

    Datagram 방식

    virtual-circuit(가상회선) 방식

     

    네트워크의 성능

    지연(Delay)

    전송지연(transmission) : 전송량(amount of data)
    전파지연(propagation) : 전송 거리(distance): 필요악
    처리지연(process): CPU 능력
    큐잉(queueing) : 입출력 버퍼의 크기(적정의 크기)
            * too small : loss / too big : wait(delay)
            * 확율밀도함수 : ~~ 분포(이산분포/베르누이분포)
                : Poisson distributuion(포아송 분포)
                   --> 인터넷 상의 패킷의 전송 형태에 적절
                : MIPP / 

    처리량(throughput) : 대역폭

    패킷 손실률(지연/손실)
     QoS(Quality of Service)
      - 음성 데이타: 손실에 민감한 데이타(loss-sensitve)
      - 영상 데이타: 지연에 민감한 데이타(delay-sensitive)
     ~~ ATM : loss QoS : 10^(-9)(1억분의 1)

     

    혼잡 제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부하에 따른 패킷 지연과 처리량

    -> 부하가 임계점을 넘어서게 되면 지연이 무한대가 된다.

    초크 패킷

    혼잡을 알리기 위해 노드에서 근원지로 전송되는 패킷이다.

    ->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End-to-End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으로 근원의 IP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IPv4 주소

    1) 버전 4 / 6
    2) 인터넷상의 서로를 인식하는 문제
      --> 기존의MAC 주소는 곤란(랜/WAN 방식마다 호환이 불가능)
      --> 서로 이해할 수 있고 유일한 주소 체계를 도입(IP 시스템)
    3) 버전 4: 32 비트 체계
    4) x. y. z. w(각 8 비트씩 십진수로 표기): dotted decimal notation
    5) 32 bit = 2^32 = 43(인구대비주소 고갈 문제 발생)
    6) class 라는 개념으로 관리
      - A/B/C/D/E

    7) 한개의 IP 주소에는 network ID + host ID
                          예) 단지이름 +  (동,호수)
                         -> network ID      ==> host ID

    -> N/W : Network ID

    클래스 기반의 주소지정에서 각 주소 공간의 점유율

    예)

    131.56.23.563의 클래스?

    131 = 128 + 2 + 1

    -> 10000011 -> Class B

     

    142.0.255.127은 어떠한 가?

    142 = 128 + 8 + 4 + 2 = 10001110 -> Class B

    Network : 142.0.0.0

    Host : 0.0.255.127

    Range: 142.0.0.0 ~ 142.0.255.255

    할당 가능 한 영역: 142.0.0.1 ~ 142.0.0.254

    Network ID : 142.0.0.0

    Broadcast: 142.0.255.255

    -> 142.0.255.127은 할당 가능하다.

     

    예외) -> 개인에게 할당이 안되는 것

    1) 자기 자신의 IP: Loopback Test 용이다.

    2) N/W ID or Host ID가 모두 '0'비트 : only itself

    3) N/W ID or Host ID가 모두 '1'비트 : broadcast(모두다)

    슬래시 표기법

    예)

    뒤의 숫자를 통해서 Class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상한 숫자도 있다. -> 25

    -> 이런 숫자는 CIDR(Classless)

    => subnetting이라고 한다.

     

    167.199.170.82
    1) 이 주소의 Network ID
       IP 주소 & Subnet Mask(비트 연산)

                 167.        199.        170.010 10010(82)
      & 11111111.11111111.11111111.111 00000
                 197.        199.        170.010 00000 
       ==> 167.199.170.64(first address)

    2) subnet mask : 네트워크 모드 '1'로, 호스트를 모드 '0'으로
            : 11111111.11111111.11111111.111 00000
            :         255.        255.        255.    224

    3) broadcast : 167.199.170.95 (last address)

    4) How many allocable hosts ? : 2^5 - 2 = 30개

    * 212.38.74.141 /28
    => 이 IP가 속한 네트워크의 default router IP를 구하라
         단, 기본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주소로 할당한다

    내 답
    default router: 212.38.74.159

    정답
    1) subnet mask
       255.255.255.1111 0000 : 255.255.255.240

    2) Network ID(First address) : 212.38 .74. 128
                212. 38. 74. 141(128+8+4+1)
                255.255.255.1111 0000
                212. 38. 74. 1000 0000(128)
    3) Broadcast(last Address) : 212. 38. 74. 143
                212. 38. 74. 141(128+8+4+1)
                255.255.255.1000 1111(143)
                212. 38. 74. 143
    4) Range : 212.38.47.128 ! 212.38.74.143
    5) Allocable Range: 212.38.74.129 ~ 212.38.74.142
                            : 2^4 - 2 = 14 대
    6) Default Router : 212.38.74.142 -> 정답이다.

    가변 subnet

     1) 192.168.165.34/26 (고정 subnet)
                   실습실 4개에 30대씩을 할당 --> 서브네팅(subnetting)
     2) 실습실 1 : 192.168.165.00 000000 ~ 00 111111 (X)
        실습실 2    192.168.165.01  ~ 01 111111
        실습실 3    192.168.165.10  ~ 10 111111
        실습실 4    192.168.165.11  ~ 11 111111 (X)
                                      ----
                                    subnet
                                       ID
        실습실 1  : 192.168.165.00 000001 ~ 00 111110
                       192.168.165.1 ~ 192.168.165.62(2^6  - 2)
        실습실 2    192.168.165.01 000001  ~ 01 111110
                       192.168.165.65 ~ 192.168.165.126(2^6  - 2)
        실습실 3    192.168.165.10 000001  ~ 10 111110
                       192.168.165.129 ~ 192.168.165.190(2^6  - 2)
        실습실 4    192.168.165.11 000001  ~ 11 111110
                       192.168.165.193 ~ 192.168.165.254(2^6  - 2)

    - 실습실 3의 기본 라우터의 주소 : 192.168.165.190


    -> 하지만 모두 0 또는 1이 되는 것은 안된다.
    그래서 이것을 살리기 위해서 Router의 옵션 ip subnet zero 옵션을 채택합니다.

    가변 subnet
    192.168.165.34/24
    실습실 1: 100대 / 실습실 2: 60대 /실습실 3 : 30대/실습실 4 : 15대

    피자

    피자한판(256) -0 반쪽A(128) :실습실 1 /25(0)
                       -1 반쪽B(128) - 0 반쪽A(64) : 실습실 2 /26(10)
                                          - 1 반쪽B(64) - 0 반쪽A(32) : 실습실 3 / 27(110)
                                                            - 1 반쪽B(32) - 0 반쪽A(16) : 실습실 4/28(1110)
                                                                              - 1 반쪽B(16) /28(1111)

    실습실 1: 192.168.165.0 0000001 ~ 192.168.165.0 1111110 /25
                          192.168.165.1    ~ 192.168.165.126(2^7 - 2)
    실습실 2: 192.168.165.10 000001 ~ 192.168.165.10 111110 /26
                          192.168.165.129 ~ 192.168.165.190(2^6 - 2)
    실습실 3: 192.168.165.110 00001 ~ 192.168.165.110 11110 /27
                          192.168.165.193 ~ 192.168.165.222 (2^5 - 2)
    실습실 4: 192.168.165.1110 0001 ~ 192.168.165.1110 1110 /28
                          192.168.165.225 ~ 192.168.165.238(2^4 - 2)

    각 실습실의 default router ip?
    실습실 1 192.168.165.126
    실습실 2 192.168.165.190
    실습실 3 192.168.165.222
    실습실 4 192.168.165.238

    -> 왜 실습실 4에 나머지 블록을 다 넣지 않는 것인가?

    이유 : 나중에 다른 실습실이 올 때, 할당하려고

    고정보다 가변이 훨신 많다.

     

    문제 18.5

    할당 받은 네트워크
      14.24.74.0 /24 -> 2^8 = 256 - 2 = 254개를 사용할 수 있다.
    3 subnets
      - 10개 -> 마지막
      - 60개 -> 2번쨰
      - 120 개 --> 제일 큰거를 먼저 할당

    1) 120개 --> 254/2 = 127개
     14.24.74.0 0000000 ` 14.24.74.0 1111111
     NW ID(First Address) : 14.24.74.0
     Broadcast(Last Address) : 14.24.74.127
     Range : 14.24.74.1 ~ 14.24.74.126 /25

    2) 60개 --> 127 / 2 = 63개
       14.24.74.10 000000 ~ 14.24.74.10 111111
       NW ID(First Address) : 14.24.74.128
       Broadcast(Last Address) : 14.24.74.191
       Range : 14.24.74.129 ~ 14.24.74.190 /26

    3) 10개 --> 127 /2 = 63 / 2= 31 / 2 = 15개
        14.24.74.1110 0000 ~ 14.24.74.1110 1111
        NW ID(First Address) : 14.24.74.224
        Broadcast(Last Address) : 14.24.74.239
        Range : 14.24.74.225 ~ 14.24.74.238 /28

     

    --> IP의 26이라는 숫자는 가변으로 변할 수 있다.
    -->자동화 방식을 만들어 진다.

     

    DHCP

    Host가 요청하 때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있는 IP를 할당하고록 설정할 수 있다.

    주소 고갈(Address Starvation)
    - IPv4 : 43억개
     ==> IOT(사물인터넷) --> 1인당 100개의 IP가 필요할지 도 모른다

    1) 유동 IP(<->고정 IP) : 필요할 때만 할당
    - DHCP
    - 유무선 공유기

    2) 사설 IP(<-> 공인 IP) : 한 기관/조직내에서만 사용하는 IP
    - NAT
    - 유무선 공유기

    ==> 궁극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임시방

     

    3) 새로운 주소 체계를 도입
    -IPv6
    -IPng(next generation)

    DHCP 메시지 형식

    옵션 형식

    DHCP 동작

    Server: 공유기

    Client : 내 컴퓨터

     

    공유기를 찾기 위해 DHCPDISCOVER을 보낸다

    -> 포트가 67(정해진 규칙) 찾는다

    -> 67은 서버, 68클라이언트

     

    Server가 받으면 DHCPOFFER를 클라이언트에게 준다.

    -> 브로드캐스트로 연결되어있는 곳에 다 보낸다.

     

    DHCPREQUEST를 보내서, 쓴다는 의사를 준다

     

    DHCPACK를 보내서, 준다는 것을 알려준다

     

    DHCP의 동작하는 과정

    공유기로 부터 IP 할당 받는 과정

    INIT(초기화) 상태가 된다.

    -> 제안을 받으면 클라이언트는 SELECTING 상태로 이동

    -> 요청하기 위해 REQUESTING 상태

    -> BOUND 상태로 이동해서 IP 주소를 사용한다.

    만약, 주소 임대가 50%가 만료되면 RENEWING 상태로 이동해서 주소를 갱신

    또, 주소 임대가 갱신되지 않고 75%가 만료되면, REBINDING 상태로 이동한다.

     

    NAT

    문제 1)

    사설         공인
    서로다르다 25.4.30.23
    서로다르다 25.4.30.23

    -> Port를 다르게 한다.

    * Port번호 : 4계층의 주소 개념
    DHCP는 서버에서 사용할 수 없다

     

    노랑색에 있는 IP들: 사설 IP이다.

    200.24.5.8: 공인 IP

                                      공인IP로 바뀐다.

    여러가지 사설IP들은    ------------------------>   인터넷 

    IP 패킷의 포워딩

    포워딩: 패킷이 목적지로 향하도록 패킷을배치하는 것이다.

    문제 180.70.65.140의 목적지를 가지고 R1에 도착할 때 포워딩 과정

    ==> 라우팅 테이블은서브넷 마스크를 내림 차순으로 정렬해야 한다.(Longest Mask Matching)

    1. 180.70.65.192/26 하고, 비트 AND 연산을 한다. --> 180.70.65.128로, 매칭이 안된다.

    2. 180.70.65.128/25 하고, 비트 AND 연산을 한다. --> 18070.65.128로, 매칭이 된다, Interface 번호 m0은 패킷 전송을 위해 추출된다.

    레이블 기반 포워딩

    ==> 이 방식은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린다

    MPLS

    -> MPLS Header: 색깔을 붙히는 것이다.

    색깔을 보고, 빠르게 검색해서 찾아갈 수 있다.

    '인터넷 프로트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캐스트 라우팅  (0) 2021.05.10
    네트워크층 프로토콜  (0) 2021.04.21
    기타 무선망  (0) 2021.03.29
    무선 인터넷  (0) 2021.03.17
    전화 네트워크  (0) 2021.03.15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