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red: 스위치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공유한다.
Wireless: 각자 무선랜을 이용한다.
왜 CSMA/CD를 무선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이유
1. 동시에 받고, 주고 하는데 출력이 충분하지 않다.
2.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약해진다
3. 보안이 문제가 된다
IEEE 802.11 PROJECT
wireless LAN(IEEE 802.11) -> 기술
WIFI(Wireless Fidelity) -> 기술의 이름(비즈니스 적인 이름)FHSS/DSSS : 1M(라디오파)
Infrared(적외선) : 1M
802.11 a/g : 11M
802.11 b : 54M
80211 n : 250M
802.11 ac : 1GIEEE 802.11 표쥰에서의 MAC층
CSMA/CA and NAV
- 프레임을 보내기 전, 발신 지국은 반송 주파수의 에너지 레벨을 검사
- 채널이 유효상태일 때까지 backoff 값으로 유지한다.
- 지국이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알고 난 후, DIFS(분산된 프레임 간격)라는 시간을 기다린 후, RTS(request to send)라는 제어 프레임을 보낸다.
- RTS를 수신 후, SIFS(짧은 시간)를/을 기다린 후, 목적 지국은 CTS(clear to send)라는 제어 프레임을 바신 지국에 전송한다. 이 제어 프레임은 목적 지국이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 SIFS를 기다린 후, Data를 보낸다.
- SIFD를 기다린 후, 목적 지국은 프레임을 받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확인 응답을 보낸다. (확인 응답을 보내는 이유: 발신 지국에서는 데이터가 잘 도착했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이다.)
프레임 교환 시간선
프레임 구조
프레임 구조 : 주소 + 제어 + 데이터 + FCS(CRC)
- Ethernet : DA/SA + Type + Data(46~1500) + FCS
- WIFI : 주소가 4개 + Type(FC:제어정보) + frame Body(0~2312) + FCS
FC의 구조
Version :
current 버전이 0이다
Type(제어정보):
관리용 정보(00) / 제어용 정보(01) / 사용자 데이터(10)
RTS/CTS/ACK
To DS, From DS
주소가 왜 4개인가?
BSS: 공유기 한 대를 같이 사용하는 것
-> 서로 다른 상황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쓰는 것이다.
Subtype
- RTS : 0 01 1011 ~~~~ RTS정보
- CTS: 0 01 1100 ~~~~ CTS정보
- ACK: 0 01 1101 ~~~~ ACK정보
More flag:
이기종의 네트워크(hetero-generous)/동종의 네트워크(Homegenoeus)
WIFI(~2312) --- router ---- Ethernet(~1500)
frame(2300) -----> 1500 --->
800 --->
Router 역할 : routing(경로 설정) 장비
송신자가 분할/조립(1500(M:1) + 800(M:0))
Retry
값 = 1이면
중복 수신의 가능성이 있다.
Pwr mgt
배터리 관리 상태를 알려준다
More data
데이터가 여러 개 있다.
1이면, 보낼 데이터가 더 있어
WEP
압축/암호화/
값이 1이면, 보내는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있다.
노출된 지국 문제
A ------------ B ------------ C ----------- D
RTS
CTS CTS ---- Data(X) ->
DATA NAV
<- Data(X)
ACK ACK ---
노출된 지국(미필적 고의)이다
-> Problem
해결책 -> None
Bluetooth
piconet(작은 네트워크)
Primary(주국)
Secondary와 일대일 혹은 일대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직 하나이다.
Secondary(종국)
Primary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Scatternet
한 피코넬 안에서 종국이 주국이 되는 것이다
종국과 주국의 역할을 통해서 서로 다른 Piconet이 통신할 수 있다.
Bluetooth 계층
L2CAP: LAN의 LLC 부계층과 유사하다.
TDMA
반이중 양방향 통신
-> 송신자와 수신자가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할 있지만, 동시에는 안된다.
각 방향에 대한 통신은 서로 다른 도약을 사용한다.
-> 다른 방송 주파수를 사용한다 FHSS와 비슷하다
단일 종국 통신
625us의 슬롯으로 나누어, 송수신을 한다.
다중 종국 통신
한 종국이 이전에 슬롯의 패킷에 의해 지정됬다면, 그 종국은 다음 홀수 슬롯에 전송된다.
'인터넷 프로트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층 프로토콜 (0) 2021.04.21 네트워크 층 (0) 2021.04.05 기타 무선망 (0) 2021.03.29 전화 네트워크 (0) 2021.03.15 이더넷(Ethernet) (0) 2021.03.10 - 프레임을 보내기 전, 발신 지국은 반송 주파수의 에너지 레벨을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