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넷(Ethernet)인터넷 프로트콜 2021. 3. 10. 18:19
LAN : IEEE 802 Project 1985 랜의 표준을 지정했다.
LAN을 위한 IEEE 표준 LAN = 물리계층 + MAC + LLC
LAN은 2계층의 구조다
LAN 자체는 3계층이다
이더넷진화
10Mbps -> 100Mbps -> 1Gbps -> 10Gbps
이더넷의 구조
이더넷 frame 구조 SFD의 header이다
D/A : 6, S/A : 6, Type : 2(0x0800: IP/0x0806: ARP), CRC : 4
MAC 주소
18byte(default) + data(46 ~ 1500:MTU) = 64 ~ 1518
Maxiumum Transmission Unit = MTU
왜 64인가? 2500m(10Base5) / 10Mbps / 25.6 us
10M * 25.6 * 2 = 512bit = 64byte
-> CSMA/CD : 충돌 검출용 64보다 커야 충돌 생겼을 때, 충돌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64보다 작으면 충돌이 생겨도 인지하지 못한다.
If data = 35 -> 18byte + 35 = 53 >= 64다 커야 한다
-> 53 + 11(padding) >= 64
Padding: 의미없는 데이터를 넣는다.
SFD : 10101011(보낸사람) -> 10100110(받는사람)
SFD가 다르게 되면 Ghost Frame으로 된다.
동축케이블에서 리피터의 최대 수 : 4개
5개 이상이면 SFD값이 변한다.
전송순서가 다르다
47이 이진법으로 '01000111'지만, 보낸 때는 '11100010'으로 바뀐다.
a.4B:30:10:21:10:1A
b.4A:20:1B:2E:08:EE
c.FF:FF:FF:FF:FF:FF
A : 유니캐스트
B : 멀티캐스트
C : 브로드캐스트
맨 오른쪽값이 홀수면 unicast, 짝수면 multcast, 모두 F면 broadcast
데이터를 2560을 보내도 전송은 된다.
-> 전송하는 쪽에서 분활해서 보내기 때문에 가능하다.
Win10 에서는 max frag = 1472 byte - 1500(MTU) = 28byte
28byte는 LLC다
LLC(28) + MAC(1472) = 1500
버스 방식, 동축 케이블 HUB, star 방식 10Base5
- Transceiver: 송수기 케이블을 통해 지국과 연결되어 있다. 최대 길이가 50m이다.
- 최대 길이가 500m이다. 이 이상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중계기(리피터)가 필요하다.
10Base2
- 최대 길이가 185m이다.
10Base-T
- 노랜색은 포트로 RJ-45
10Base-F
- 포트는 MTRJ
대역폭 공유
대역폭 공유 시간차를 두어서, 대역폭을 유지할 수 있다.
a. 버스 방식 if 12M / 12station = 1Mbps
LAN 전송방식 : 브로드캐스트
WAN : 1-to-1 (Unicast)
Collison domain(broadcast) : 12 -> 충돌할 수 있는 전송될 객수
b. bridge
1 -> 6 : block
6 -> 11 : forward (forward table/ bridge table)
LAN 장비: 리피터/브릿지/허브/스위치/라우터/게이트웨이
넘긴다/막는다(forward/block)
Switch
브릿지하고 비슷하다.
-> 스위치는 하드웨어로 제어한다.
고속 이더넷 구현을 위한 부호화 - Cat.5 : 2 / 4 pin만 사용 -> 유선전화기 (4pin) : 2pin만 쓴다.
광케이블
S(short) : 850 nm
L(Long) : 1310 nm
10기가비트 이더넷
E(Extra) : 1550 nm
X(8B10B) / R(64B/66B) / W(64B/66B with W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