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rget mode(run level)리눅스공부 2020. 10. 27. 22:39
run level == 시스템 실행 모드 6.x 까지는 /etc/inittab 파일에서 설정 진행 6.x inittab 파일 ex) 0 - halt == 시스템 종료 ,기본값으로는 사용 안 함 1 - single user mode == 단일 사용자 모드 , 윈도우 안전 모드 유사 == 관리자 비밀번호 재설정, 파일시스템 수정, 복구 작업 2 - multi user mode == 다중 사용자 , 네트워크 지원 X 3 - full multi user mode == 다중사용자, 네트워크 지원 O 1 ~ 3 까지는 CLI 환경 부팅 지원 4 - unused == 예약 5 - X11 == 그래픽 환경 지원, 다중사용자, 네트워크 지원 O 6 - reboot == 재시작, 기본값으로는 사용 안 함 id:[run l..
-
process리눅스공부 2020. 10. 27. 22:23
cpu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모든 프로그램 fore ground 프로세스 : 화면에 보이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ex) 대화형 프로세스 bakc ground 프로세스 ex) 데몬(daemon) 프로세스 == 특정 서비스(프로그램) 실행을 위해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동작하는 서버 프로세스 ps: 프로세스 확인 명령 ps -ef: 모든 프로세스의 자세한 정보 표시 UID : user id PID : process id == PPID의 자식 프로세스 == CMD와 같은 의미로 해석 == 명령(CMD)을 입력하면 PID는 숫자로 표시 PPID : parent id == PID의 부모 프로세스 C : cpu 점유율, 사용량 STIME: 접근 시간 TTY : 프로세스와 시스템간의 연결 형태 == tty..
-
root password 관리 & GRUB bootloader리눅스공부 2020. 10. 27. 22:15
root password 설정 == 관리작 비밀번호 재설정 1. 부팅시 보이는 kernel 선택 확면에서 최신 kernel 번전을 선택한 후 e키를 누른다. 2. linux16.. 으로 시작하는 라인 편집 -- 뒤에서부터 rhgd 부분까지 삭제 후 init= /bin/bash 입력 -- ro -> rw 로 변경 -- ctrl + x = 시작 3. passwd 명려으로 관리자 비밀번호 재설정 4. exec /sbin/init == 시스템 재시작 후 관리자 로그인 진행 grub 접근 보안 설정 부트로더 (bootloader) == 초기 적재 프로그램 == 리눅스가 부팅되기까지의 전과정을 진행하는 부팅 프로그램 ==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면서 kernel이 올바르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
-
Chapter 8: Deadlocksos 2020. 10. 26. 11:58
System model 2가지 형태로 되어 있다.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스와 리소스 간의 관계 프로세가 리소스를 사용하는 방법 Request Use release(해제) Deadlock Characterization Deadlock 걸렸을 때, 나타나는 특징 1. Mutual exclusion 상호배제(리소스에 대한 상호배제) 상호배제 현상이 발생한다. 의미 찾아보기 2. Hold and wait 프로세스가 최소 1개의 리소스를 hold하고 있고, 자기가 필요로 하는 리소스를 기다리고 있다. 3. No preemption 비선점 선점이 안된다. 선점이 된다면 deadlock이 안걸린다 4. Circular wait 돌아가는 형태(사이클 형태)로 기다리고 있다. Resource-Allocation 프..
-
filesystem & mount리눅스공부 2020. 10. 25. 22:13
HDD & partition HDD 구조 플래터 : 비자성체 금속(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원판 모양의 disk에 산화금속막을 양면에 코딩 스틴들: 플래터를 회전시켜 주는 역활 헤드 : 플래터 동작시 생기는 공기압을 사용해서 플래터위를 비행하면서 데이터 읽기, 쓰기, 삭제를 하는 장치 == 일반적으로 플래터 수 *2 linux partition type 1. primary partition == 주 영역 파티션, 4개까지만 생성 가능 2. extended partition == 확장 영역 파티션 , 1개만 생성 가능 3. logical partition== 논리 영역 파티션 HDD type == IDE, SCSI, SATA, SAS, SSD == HDD 명칭은 시스템 자동 부여 IDE : 병렬 : hd..
-
RPM리눅스공부 2020. 10. 23. 23:48
RPM(Redhat Package Management) linux package installation 1. 소스 - 컴파일- 환경설정 - 설치 - 실행 : tar & make 소스 설치 진행 순서 ex) ./configure 명령어 == 소스 파일에 대한 환경설정, makefile 생성 == 설치 경로 지정 등의 작업 ex) ./configure --prefix = /usr/local/java 이런식으로 make == 소스 파일을 실행 가능한 파일로 변환 == 소스 컴파일 작업 make install == make 를 통해 만들어진 설치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순으로 일반적 진행 2. X X X - 설치 - 실행: rpm [ package..
-
compress리눅스공부 2020. 10. 23. 00:59
압축 리눅스 압축 도루 == compress, zip,gzip,bzip2, xz == gzip, bzip2, xz등을 주로 사용 압축하기 compress 압축 == compress [파일명] == Z 확장자, 원본 사라짐 gzip 압축 == gzip [파일명] == gz확장자, 원본 사라짐 bzip2 압축 == bzip2 [파일명] == bz2 확장자, 원본 사라짐 xz 압축 == xz [파일명] == xz 확장자, 원본 사라짐 zip 압축 == zip[생성할압축파일명][파일명] == zip 확장자, 원본 유지 == 사용 도구에 따라서 압축률, 압축 속도 차이 압축해제 compress 해제 == uncompress [파일명] , compress -d [파일명] gzip 해제 == gunzip [파일명] ..
-
umask리눅스공부 2020. 10. 23. 00:43
파일이나 디렉토리 생성시 적용할 허가권 정의, 설정 명령 umask 값 계산은 허용 가능한 가장 높은 허각권에서 허용할 허가권 값을 뺀 값으로 계산 ex) 디렉토리:777 -[허용할 허가권] 파일 :666 - [허용할 허가권] -- 파일은 무서 파일 기준으로 계산 umask [변경할 umask 값] == umask 값 변경 == 일시적 변경 umask 값을 변경해서 357 허가권을 가진 디렉토리 a3 생성, 파일 생성도 해볼 것 파일, 디렉토리 umask 값 설정 == /etc/profile 사용자 홈 디렉토리 umask 값 설정 == /etc/login.def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