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권한리눅스공부 2020. 10. 21. 23:49
r w s r w x r w x == SetUID == owner 자리에 s가 있다면 SetUID, 권한값 4000 대 사용 r w s r w x r w x == SetGID == group 자리에 s가 있다면 SetGID, 권한값 2000 대 사용 r w s r w x r w x == sticky bit == other 자리에 t가 있다면 sticky bit, 권한값 1000 대 사용 sticky bit == 게시판 성격의 특수권한 == 관리자, 소유자만 삭제 가능 ! == 공용 디렉토리 허가권으로 주로 사용 /user/bin/passwd 파일 허가권 변경하면서 확인 korea사용자로 접속 후 passwd 명령 입력 후 비밀번호 변경 test SetUID == 소유자 권한으로 프로그램 시랳ㅇ SetGI..
-
권한리눅스공부 2020. 10. 20. 22:20
== 허가권, 소유권, 특수권한.. drwx------. 5 korea korea 128 9월 25 18:26 korea [permission] [ownership] ==허가권 == 소유권 == 권한 permission(허가권) 파일 형식 d owner group other -소유자,사용자 - 그룹 -일반사용자(owner, group 해당이 안되는 사용자)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 *100 *10 *1 == 777 r: read = 읽기 w: write = 쓰기 x: execute = 실행, 접근 == x가 파일에 있다면 실행, x가 디렉토리에 있다면 접근 의미 == 디렉토리는 접근이 되어야만 안에 있는 파일들을 읽거나 쓸 수 있음 375 == wx rwx rx..
-
user account management: /etc/group리눅스공부 2020. 10. 19. 22:52
시스템에 생성되어 있는 그룹 정보 확인 groupadd [그룹명] == 그룹 생성 groupadd -g [GID][그룹명] == GID 지정해서 그룹 생성 groupmod == 그룹 수정 groupmod -g [GID][그룹명] == 그룹 GID 변경 groupmod -n [사용할그룹명][기존그룹명] == 그룹명 변경 groupdel [그룹명]== 그룹 삭제 그룹 사용자 관리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한 관리 ex) usermod -G [그룹명][계정명] == 새로운 그룹에 추락 소속 usermod -G g1 user1 userdmod -g [그룹명][계정명] == 기본 그룹 변경 usermod -g g2 user2 == -G 옵션으로는 하나의 그룹만 추가가능 == 사용자가 다수의 그룹 소속, 그룹에서..
-
user account management: /etc/skel리눅스공부 2020. 10. 18. 22:56
사용자 홈 디렉토리 생성시 복사될 기본 정보 파일들의 경로 == 뼈대 == 기본 skel 디렉토리 == 사용자에게 공지할 내용이 있다면 /etc/skel 디렉토리에 내용을 포함시켜 둘 수 있음 == -m -k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 skel 디렉토리 참조 == /etc/skel == -m -k 옵션을 사용하면 사용자정의 skel 디렉토리 참조 ex) useradd -m -k /etc/askel user6 사용자 기본 생성 정보 확인 useradd -D == 명령 확인 /etc/default/useradd == 문서 확인 기본 생성 정보 ex) GROUP=100 == 기본소속그춥 GID == useradd -D -g[GID] HOME=/home == 사용자 홈디렉토리 생성 경로 == useradd -..
-
user account management: /etc/shadow리눅스공부 2020. 10. 18. 22:40
사용자 패스워드 관련 설정 정보 ex user3: SDB.....xWDWY:18159:0:99999:7: : : 1 2 3 4 5 6 7 8 9 1: 사용자명 (계정명) 2: 암호화 된 사용자 패스워드 3: 패스워드 최종 수정일 == 1970년 1월1일 기준으로의 일 수 4: 패스워드 변경 후 최소 일 == 0: 사용제한없음 의미 5: 패스워드 변경 최대 일 == 99999 : 사실상 무제한 6: 패스워드 만료 경고 기간 7: 패스워드 종료일 이후의 유효일 수 8: 계정 만료 기간 == 1970년 1월 1일 기준으로 표시 9: 예약 필드 chage ==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 chage -1 [계정명] == 계정에 설정된 패스워드 사용 내용을 확인 chage -m [일수][계정명] == 계정..
-
user account management: /etc/passwd리눅스공부 2020. 10. 18. 22:20
/etc/passwd -> 사용자 정보 확인 --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etc/shadow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etc/passwd 에서 확인 /etc/passwd 필드 ex) korea:x:1000:1000:korea:home/korea:/bin/bash 1 2 3 4 5 6 7 1: 사용자명 2: 패스워드 == 보안상 X문자 표기 -> 일반 사용자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3: UID == user id 4: GID == group id 5: Comment == 주석, 닉네임 6: 사용자 홈 디렉토리 경로 == 사용자 생성시 사용자명과 동일한 이름으로 자동으로 구성 7: shell type: 명령어 해석기 -- shell(명령어를 해석해 준다.) bourne shell : sh == 최..
-
vi editor 3리눅스공부 2020. 10. 16. 22:31
치환 == 찾아바꾸기 :[범위]s/[old]/[new]/[option] 1. 해당행 치환 -- 치환시킬 문자열이 있는 라인으로 이동 후 치환 ex) s/name/linux 2. 지정헹 치환 -- 치환시킬 문자열이 있는 라인을 지정해서 치환 ex) :10s/linux/name 3. 영역 지정 치환 -- 범위 구분시 , 사용 ex) :20,28s/PASS/linux 4. 전체 치환 -- 범위 지정시 % 사용 ex) :%s/PASS/test == g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조건에 맞는 문자열이 라인에 여러개가 있을때 첫번쨰 문자열만 치환 == g 옵션을 사용하면 조건에 맞는 모든 뮨자열 치환 ex) :%s/PASS/test/g split mode ctrl + w + n == 화면 수평 분할 ctrl + ww ..
-
vi editor 2리눅스공부 2020. 10. 16. 22:31
소문자 x : 현재 커서 위치부터 삭제 -> 윈도우 del 대문자 X : 현재 커서 위치 앞부터 삭제 => 윈도우 backspace dd: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삭제 == 라인삭제 [숫자] + d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부터 지정한 수만큼 라인 삭제 -> 블록삭제 dw : 단어 단위의 삭제 d0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전의 내용 삭제 d$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부분 이후의 내용 삭제 yy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복사 == 라인복사 소문자 p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후에 붙여넣기 == 아래로 붙여넣기 대문자 P : 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 이전에 붙여넣기 == 위로 붙여넣기 패턴 검색 -> 찾기 -> / , ? /[패턴] == n : 정방향 , N : 역방향 ?[패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