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운영체제
OS(operting system) : 운영체제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한 부분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직접적으로 할 수 없기 떄문에, 대신 명령을 해주는 소프트웨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
자원(resource) 관리 == 메모리, cpu스케줄링, 파일입출력, 응용프로그램 관리 등...
single booting mode
하나의 하드웨어 혹은 PC에 1개의 OS를 가진다.
multi booting mode
하나의 PC에 다수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방법
하지만, 지금은 PC의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지금은 하드디스크를 분리해서 사용한다.
virtual booting mode
가상머신을 만들어주는 머신이다.
-> 실제로 존제하지 않는 가상의 컴퓨터를 조립해서 쓰는 것이다.
실제 운영체제 host OS
가상 운영체제 guest OS
1973년 벨 연구소 -- C언어로 작성된 유닉스 운영체제
1985년 리차드 스톨만 == 자유 소프트웨어 제단 == GPL 라이센스, GNU project
GPL 라이센스 다섯가지의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강제하였다.
1991년 리누스 토발즈 == 리눅스 개발자
unix(minix)웨에서 실행되는 터미널 환경에 kernel 버전 개발
리눅스는 언밀히 말하면 kernel이다.
GNU project + 리눅스(kernel) = 완성된 리눅스
'리눅스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2 (0) 2020.10.13 리눅스 기본명령어 (0) 2020.10.13 리눅스 virtual memory (0) 2020.10.12 리눅스 시작 (0) 2020.10.12 리눅스 장점 (0) 2020.10.12